독감 환자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독감 유행이 연중 이어지는 가운데 환자 수가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독감 환자 수 추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외래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가 61.3명으로 최근 5년간 최고 수준입니다. 연령별로 보면 13~18세에서 133.4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7~12세 120.1명, 19~49세 78.9명, 1~6세 49.5명, 50~64세 34.5명, 65세 이상 15.3명 순입니다.
독감 급증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팬더믹 시기 3년간 쌓인 면역 빚을 한꺼번에 갚는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강력한 방역 조치로 코로나19뿐 아니라 다른 호흡기 감염도 크게 줄었는데 감염으로 얻게 되는 자연 면역력도 덩달아 감소하면서 갚아야 할 빚처럼 한꺼번에 다수가 감염된다는 것입니다. 코로나 기간 독감 환자가 역대 최저로 떨어졌는데 접종률은 그대로이고 자연 감염으로 항체를 얻은 이들은 적다 보니 바이러스가 번지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독감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독감 치료제로는 먹는 약인 타미플루와 주사제인 페라미플루를 사용합니다. 타미플루는 알약이나 현탁액 형태로 5일간 하루 2번씩 복용합니다. 페라미플루는 정맥 주사로 15분 이상 한 차례 접종합니다. 타미플루는 의료보험이 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적지만, 주사제는 비급여로 1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듭니다.
예방백신 접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인플루엔자는 4월까지 계속 유행하므로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65세 이상과 생후 6~59개월 소아나 임신부 등은 독감 고위험군에 속해 접종해야 합니다.
이상 독감 유행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월상연골판손상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02 |
---|---|
달팽이관 (인공와우) 이식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01 |
복부대동맥류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31 |
백일해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30 |
방광암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