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혁신전략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030년까지 1조 5천억 원을 투입해 전국 문화 예술 기반 시설 조성계획을 담은 혁신전략을 발표했습니다.
문화예술 혁신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문화예술 3대 혁신전략, 10대 핵심과제를 살펴보면 전남도청 복원 등 5개 권역별 국립문화예술공간을 새롭게 조성해 국민의 문화 예술 향유 여건을 개선할 예정입니다. 옛 전남도청을 518 민주화 운동의 가치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열린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도청본관 등 복원 대상 6개 건물의 내외부와 연결 통로를 1980년 5월 모습으로 복원합니다.
내부는 건물이 지닌 상징성을 살려 518을 기억하는 대표적인 공간으로 하고,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과 상호 화합의 장이자 전시와 기록, 정보가 혼합된 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예술인 지원의 혁신, 국민의 문화 향유환경 혁신, 문화 예술 정책구조의 혁신 등 3대 혁신전략을 제시하고, 10대 핵심과제를 발표했습니다.
문화 예술 핵심과제를 알아보겠습니다.
예술계 현장 요구와 수요를 반영해 지원 방식을 개선합니다. 문화예술진흥기금 1건당 평균 3천만 원 규모 지원 수준을 2027년까지 1건당 1억 원 수준으로 인상하여 프로젝트 단위 대규모 사업지원을 강화합니다. 청년 예술인의 수요가 높은 문학, 시각, 공연 등 창작활동 공간 제공 확대를 위해 예산 100억 원을 증액하였습니다. 국립예술단체의 청년교육단원을 3배 이상 늘리고 청년 16만여 명을 대상으로 청년문화예술패스를 도입해 1인당 최대 15만 원을 지원합니다.
사각지대 없는 문화기반 조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에 가지 않고도 광역도시에서 정상급의 초대형 공연을 관람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4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역거점 공연장에서 국립예술단체의 공연을 개최, 사각지대 없는 문화 향유 기반을 조성합니다. 지역에서도 운영비용이 큰 발레단, 오페라단, 오케스트라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단체를 설립 운영할 수 있도록 지역대표 예술단체 육성 사업을 새롭게 추진합니다.
문화 예술 지원 사업 재구조화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연극, 공연은 웰컴 대학로를 중심으로 서울국제공연예술제와 서울아트마켓 등을 연계하고, 클래식은 교향악축제를 중심으로 국립예술단체 교육단원 활용 실내악 공연을 통합 개최합니다.
문화예술위원회, 예술경영지원센터 등 주요 기관의 문화예술지원 공모사업 심의에 경력 10년 이상의 내부 직원이 참여하는 책임 심의관제를 도입하여 심의의 전문성과 책임성을 높입니다. 문화예술계와 폭넓은 협의를 통해 수립한 이번 정책은 그동안 문화예술계에서 논의된 다양한 현안을 담아 문화 예술 정책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복지격차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16 |
---|---|
슈링코노믹스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15 |
무제한 교통카드 알아보기 (0) | 2024.01.13 |
우리나라 사회보장 부담률 알아보기 (0) | 2024.01.12 |
국민여가활동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