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세통계 활용 청년창업

정보

by 드림세르파 2023. 9. 28. 20:27

본문

국세통계 활용 청년창업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국세데이터 분석을 통해 예비창업자 등에 유용한 신규 콘텐츠가 국세통계포털에 새롭게 제공되었습니다. 최근 5년간의 100대 생활업종 데이터 분석으로 예비창업자와 취업희망자에게 지역별·업종별 사업자 수 증가율, 사업 존속 연수별·성별·연령별 통계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100대 생활업종 통계를 보다 쉽고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도, 그래프 등으로 시각화하여, 업종별, 지역별 매출 수준 등을 알 수 있는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 콘텐츠를 서비스합니다.

 

 

1.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 주요 내용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 주요 내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 중 업종으로 보는 생활업종은 이용자가 보고 싶은 업종의 매출 수준과 유형별 통계를 지역별로 비교 분석해 볼 수 있는 통계콘텐츠입니다. 이용자가 100대 생활업종을 선택하고 연 매출액을 입력하면, 지도를 통해 선택한 업종의 지역별 매출 수준과 유형별 통계를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커피 전문점을 선택하고 연 매출액 1억 2천5백만 원을 입력한 후 지도를 통해 전국, 서울시, 서울시 중구 순서로 선택하면 지역별 매출 수준과 유형별 통계(사업자 수, 평균 사업 존속연수, 성별, 연령별 비율)를 볼 수 있습니다.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 중 지역으로 보는 생활업종은 이용자가 보고 싶은 지역의 매출 수준과 유형별 통계를 업종별로 비교 분석해 볼 수 있는 통계콘텐츠입니다. 이용자가 지역을 선택하고 연 매출액을 입력하면 업종 메뉴를 선택한 지역의 업종별 매출 수준과 유형별 통계를 알 수 있습니다. 경기도 부천시를 선택하고 연 매출액 3억 5천만 원을 입력한 후 업종 메뉴에서 편의점을 선택하면 업종별 매출 수준과 유형별 통계(사업자 수, 평균 사업 존속연수, 성별, 연령별 비율)를 볼 수 있습니다.

 

 

국세통계 활용 청년창업국세통계 활용 청년창업
국세통계 활용 청년창업

 

2.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 활용방법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 활용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호프주점을 운영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청년 A 씨는 어느 지역에서 창업할지 고민 중입니다. 업종으로 보는 생활업종에서 호프주점, 연매출 2억 원을 입력하면 00시 00구가 매출 수준과 사업자 수 등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지역으로 확인되는 등 창업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커피 전문점을 운영하는 B 씨는 주변에 늘어가는 커피 전문점으로 인해 매출이 급감하여, 연 매출 3억 원을 유지할 수 있는 다른 업종으로 변경을 고민 중입니다. 지역으로 보는 생활업종에서 00시 00구 연매출 3억 원을 입력하면 패스트푸드점이 매출 수준과 사업자 수 등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업종으로 확인됨을 확인하여 업종 변경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3. 국세통계 주요 내용

국세통계 주요 내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국세통계에서는 법인세 세액공제, 감면과 접대비, 기부금, 세금계산서 발급금액 등 77개로 국세통계포털에서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국세통계 활용 청년창업국세통계 활용 청년창업국세통계 활용 청년창업
국세통계 활용 청년창업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2022년에 법인세를 신고한 법인을 수입금액 규모별로 보면 수입금액 100억 원 초과인 경우 법인 수와 총부담세액은 각각 5.2%, 88.1%의 비율을 차지합니다.

② 2022년에 법인세 세액공제를 신고한 법인 수와 세액공제액은 17.3만 개, 13.6조 원으로 5년 전 대비 각각 193.2%(11.4만 개), 78.9%(6조 원) 증가하였습니다.

③ 법인세 세액공제액을 항목별로 보면 중소기업은 연구 인력개발비 세액 공제(1.5조 원), 일반법인은 외국납부 세액공제(5.5조 원)가 가장 많았습니다.

④ 2022년 법인세 세액감면을 신고한 법인 수와 세액감면액은 24.5만개, 1.9조 원으로 5년 전 대비 법인 수는 12.9%(2.8만 개) 증가, 세액감면액은 17.4%(0.4조 원) 감소하였습니다.

⑤ 법인세 세액감면액을 항목별로 보면 중소기업은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세액감면(1.1조원), 일반법인은 수도권 외 지역 이전 본사에 대한 세액감면(0.3조 원)이 가장 많습니다.

 

 

⑥ 2022년에 신고한 법인세 접대비는 12.7조원으로 5년 전 대비 18.7%(2조 원) 증가하였으며, 업태별로 보면 제조업> 서비스업> 도매업 순입니다.

⑦ 2022년에 신고한 법인세 기부금은 4.4조원으로, 업태별로 보면 제조업> 금융보험업> 서비스업 순입니다.

⑧ 2022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금액은 4,311조원으로 5년 전 대비 33.6%(1,085조 원) 증가하였으며, 업태별로 보면 제조업> 도매업> 서비스업 순입니다.

⑨ 2022년 현금영수증 발급금액은 156.2조원으로 5년 전 대비 34.1%(39.7조 원) 증가하였으며, 업태별로 보면 소매업> 음식업> 서비스업 순입니다.

⑩ 2022년 귀속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수입금액은 365.7조 원으로 5년 전 대비 28.7%(81.5조 원) 증가하였으며, 업태별로 보면 개인서비스업> 보건업> 도매업 순입니다.

 

국세통계 활용 청년창업국세통계 활용 청년창업국세통계 활용 청년창업
국세통계 활용 청년창업

 

이상으로 국세통계를 활용한 청년 창업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골이의 증상과 예방  (0) 2023.09.30
생활형 숙박시설 이행강제금  (0) 2023.09.29
일본 취업 희망자 채용  (0) 2023.09.27
청년 안심 주택  (0) 2023.09.26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  (0) 2023.09.25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