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준비생 10명 중 6명은 취업의지가 없지만 취업을 준비하는 척하는 쇼윈도 취준생이라고 합니다. 취업을 포기한 청년들이 다시 취업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정책으로 각 지역의 자치단체 청년센터를 통해 진행되고 프로그램 이수 시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청년도전지원사업은 구직단념 청년들의 구직의욕 고취, 노동시장 참여 및 취업을 촉진할 수 있도록 자치단체 청년센터를 통해 구직단념 청년을 발굴하여 사회활동 참여 의혹 고취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프로그램을 이수하면 국민취업지원제도와 직업훈련, 취업 시 고용촉진장려금,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을 지원하는 사업을 말합니다.
청년도전지원사업 지원대상을 살펴보겠습니다. 6개월 이상 취업 및 교육 직업훈련 참여 이력이 없고, 구직단념청년문답표에서 21점 이상인 만 18세에서 34세까지의 청년, 아동복지시설 등에서 보호받고 퇴소한 자 중 퇴소 5년 이내의 청년 또는 퇴소 대상자임에도 불구하고 퇴소일을 연장한 청년, 청소년 쉼터에서 1년 이상 보호한 만 18세 이상의 청년, 북한을 이탈한 자로서 만 18세에서 34세까지의 청년, 보육원, 보호관찰소 등의 보호시설 독립 후 개인적 사정으로 국민취업지원제도 등 취업지원 서비스 참여가 어려운 청년, 심리상담 등 관리가 필요한 청년, 생계형 아르바이트 청년, 경력단절여성, 폐업 자영업 청년, 대학졸업 유예자, 대학장기휴학생 등이 지원대상입니다.
구직단념청년문답표의 내용은 구직의지(3점), 일자리 수용태도(3점), 취업스트레스(3점), 직업이력(5점), 구직활동(6점), 재량점수(10점) 등 총 30점입니다. 구직의지는 향후 1년 이내 진학, 취업, 직업프로그램 참여 여부로 구직의지를 파악합니다. 일자리 수용태도는 연봉, 정규직, 학력 관련 일자리 관련 질의로 일자리를 수용할지 파악합니다. 취업스트레스는 취업의 어려움으로 불안감을 느끼거나 목표를 포기하거나 쉬고 싶은지 내용을 파악합니다. 직업이력은 자격증, 근로경험, 취업교육이력, 전업활동 등을 파악합니다. 구직활동은 최근 6개월 이내 취업박람회 방문, 입사서류 제출, 직업심리검사, 일자리 센터 방문 등의 내용을 파악합니다. 재량점수는 내담자가 취업실패로 인한 자존감 상실, 미래에 대한 불안감, 청년센터 매니저들과의 의사소통, 구직과 관련한 긍정적 태도 등을 파악합니다.
청년도전지원사업의 혜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참여자들에게는 일대일로 다양한 분야의 상담을 제공하고, 플래닝북을 이용한 계획 만들기, 문화예술 커뮤니티 프로그램 진행, 취업사진 촬영 및 취업준비교육, VR 모의 면접을 실시하고 사후 컨설팅을 제공하며, 10여 개 분야의 현직자로부터 멘토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기프로그램 이수 시 50만 원의 인센티브를 제공, 중/장기 프로그램 이수 시 최대 300만 원을 지원받습니다.
청년도전지원사업 프로그램을 살펴보겠습니다. 밀착상담, 사례관리, 자신감 회복, 진로탐색, 취업역량 강화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밀착상담은 기초상담과 수시상담으로 일대일 상담으로 프로그램 참여 동기 등 복합적 요구 파악 및 지원을 상담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사례관리는 가정생활, 시간관리, 경제생활, 금융기본교육, 요리, 건강관리, 창업, 취업, 습관 등의 사례를 관리해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자신감 회복은 자기 이해, 동기부여, 대인관계 이해, 성격파악, MBTI를 통한 자기 이해, 나의 강점 찾기, 소통 등의 프로그램입니다. 진로탐색은 직업정보 탐색 및 현직자 멘토링, 자기 탐색, 직업탐색, 진로계획 프로그램입니다. 취업역량 강화는 구직 기초 소양을 위한 이력서, 면접, 자격증, 커리어관리, 유튜브 크리에이터, 증명사진 촬영 등의 프로그램입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저소득 구직자 등 취업 취약계층에게 통합적인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생계를 지원함으로써 이들의 구직활동 및 생활안정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대상은 근로능력과 구직의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하지 못한 자를 1 유형과 2 유형으로 구분합니다. 1 유형은 15세에서 69세까지의 자로 가구원 재산이 4억 원 이하로 최근 2년 이내 800시간 기준 취업경험 유무로 선발하고, 2 유형은 15세에서 69세까지의 자로 가구원 재산이 없고 취업경험이 없는 사람을 말합니다. 상담진단을 통해 취업역량파악, 취업지원 경로 설정, 직업훈련, 일경험, 창업, 해외취업 및 복지프로그램 등을 연계하고, 구직활동지원 프로그램을 연계하고 집중 취업알선을 진행합니다.
1 유형은 구진촉진수당, 조기취업성공수당, 취업성공수당이 지급됩니다. 구진촉진수당은 월 50만 원 + 부양가족 1인당 10만 원(월 최대 40만 원) 6개월입니다. 부양가족은 18세 이하, 70세 이상, 중증장애인을 말합니다. 조기취업성공수당은 취업활동계획 수립 후 3개월 내 취업 시 잔여 구직촉진수당의 50%를 지급합니다. 취업성공수당은 최대 150만 원이 지원됩니다. 2 유형은 취업활동비용, 조기취업성공수당, 취업성공수당이 지급됩니다. 취업활동비용은 취업활동계획 수립 참여수당 15-25만 원, 직업훈련 참여지원 수당 월 28.4만 원 6개월입니다. 조기취업성공수당은 취업활동계획 수립 후 3 개원 내 취업 시 50만 원이 지원됩니다. 취업성공수당은 최대 150만 원이 지원됩니다. 구직촉진수당 중 부양가족까지 추가로 지원을 하고 일경험프로그램도 참여기업요건을 강화하여 훈련연계형 중심 운영, 참여기업 요건 강화, 체계적인 운영 지원으로 개편하였습니다. 참여 후 3개월 이내 취업 시 지급하는 조기취업 성공수당도 1 유형은 잔여수당의 50%를 지급하고, 2 유형도 50만 원을 지급합니다.
이상으로 청년도전지원 사업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0) | 2023.09.21 |
---|---|
놀면서 일하는 워케이션 (0) | 2023.09.20 |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이용권 (0) | 2023.09.18 |
K-MOVE 스쿨 해외취업 (0) | 2023.09.17 |
청년보좌역 채용 (0) | 202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