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중증근무력증에 대해 알아보기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4. 1. 15. 20:17

본문

중증근무력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중증근무력증은 근육의 힘이 비정상적으로 약해지거나 피로해지는 병입니다.

 

 

같은 일을 지속하거나 반복해서 하는 경우에 몸의 힘이 서서히 약해지며, 휴식을 취하면 회복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1. 중증근무력증의 원인

중증근무력증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정상적으로 근육이 수축하려면 신경근육접합부에서 아세틸콜린이라는 물질이 나와서 근육부위의 수용체와 결합해야 하는데, 체내에 아세틸콜린수용체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어서 이 수용체들을 파괴하여 생기는 병입니다. 자신의 신체에 대해서 자신의 항체가 공격하는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입니다. 하지만 자가면역반응이 시작되는 이유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2. 중증근무력증의 증상

중증근무력증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증상은 몸의 일부나 전체에 나타나는데 병의 초기에는 눈꺼풀이 처지거나 물체가 둘로 보이는 증상 등 눈과 관계된 증상만이 나타납니다. 일부는 안구형으로 남아있지만 많은 경우에 몸의 다른 부위에도 근육의 피로현상이 생기는 전신형으로 발전합니다. 음식물을 삼키기 힘들거나, 콧소리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중증근무력증 환자들이 제대로 치료를 받지 않거나 감기 등의 다른 병을 심하게 앓게 되는 경우에 갑작스럽게 근력악화가 심해질 수 있고 심한 경우 호흡근육까지 약해져서 호흡마비가 올 수도 있습니다.

 

중증근무력증에 대해 알아보기중증근무력증에 대해 알아보기
중증근무력증에 대해 알아보기

 

3. 중증근무력증의 진단 및 치료

 

중증근무력증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진단을 위한 검사로는 반복신경자극검사와 단일섬유근전도검사, 텐실론검사, 아세틸콜린항체검사 등이 있고 다수의 환자에게서 흉선비대증이나 흉선종양이 발견되므로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이 필요합니다. 치료는 약물치료가 일반적입니다. 아세틸콜린분해억제제, 부신피질호르몬, 면역억제제 등이 있고, 흉선절제술과 혈장교환술이 필요에 따라 시행됩니다.

4. 중증근무력증의 예방

중증근무력증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자가항체가 만들어지는 원인을 알게 된다면 중증근무력증의 예방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원인을 알지 못합니다.

중증근무력증 환자는 감정적인 스트레스, 극단적인 온도에 노출, 발열, 질병(호흡기감염, 폐렴, 치아농양), 낮은 혈중 칼륨농도(저칼률혈증, 이뇨제, 잦은 구토), 과도한 운동이나 육체적인 업무 등의 유발요인을 피하면 중증근무력증의 악화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중증근무력증에 대해 알아보기중증근무력증에 대해 알아보기
중증근무력증에 대해 알아보기

 

중증근무력증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약으로 수술 중에 사용되는 근육이완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및 퀴놀론 계열의 항생제, 심자부정맥약, 국소마취제, 마그네슘염 등이 있으므로 중증근무력증 환자는 약 복용 전에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