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박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망막박리는 망막이 안구 내벽으로부터 떨어져 뜨게 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망막이 뜨면 망막에 영양이 공급되지 않아 시세포의 기능이 점차 떨어지고 이러한 상태가 계속되면 망막이 영구적으로 위축되어 실명하거나 안구가 위축됩니다. 이 경우 대부분 망막유리제 수술이 필요합니다.
망막박리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망막박리는 대부분 망막에 구멍이 생긴 상태인 망막 열공에 의해 발생합니다.
망막 열공은 한 개일 수도 있고, 여러 개 일수도 있습니다. 망막에는 눈의 내부를 채우는 젤리처럼 끈적하고 투명한 유리체가 밀착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유리체가 고도 근시나 노화로 인해 액화되고 빈 공간이 생기면 망막과 분리됩니다. 이때 유리체가 망막을 잡아당기게 되어 망막이 찢어지거나 구멍이 생깁니다. 이 손상 부분을 통해 액체가 유입되면서 결국 망막이 떨어지게 되는 데 이를 열공 망막박리하고 합니다.
이외에도 견인막의 수축으로 인해 망막이 떨어지는 망막박리, 망막과 맥락막의 염증으로 인해 삼출물이 고여서 망막이 떨어지는 삼출 망막박리 등이 있습니다. 망막박리는 근시가 심하거나, 망막 이상의 가족력이 있거나, 눈 수술을 경험한 사람에게 잘 나타납니다. 눈에 심한 충격을 받거나 안구의 외상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하기 쉽습니다.
망막박리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망막박리의 증상에는 날파리증(비문증), 광시증, 시야 장애(위, 아래, 좌우에서부터 시야가 커튼을 친 것 같이 가려 보이는 증상), 사물이 찌그려져 보이는 증상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시력장애가 발생하기 전부터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심 망막(황반부위)이 잘 유착되고 주변부부터 서서히 망막박리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증상을 느끼지 못하다가 안과 검사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망막박리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망막박리는 정밀산동안저검사로 진료합니다. 초음파검사, 망막기능검사, 안저촬영검사 등도 병행됩니다. 망막박리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수술을 해야 합니다. 치료성공률은 80~90% 정도이며 급성기일수록 수술효과가 좋습니다. 망막박리를 수술하지 않으면 실명확률이 매우 높으므로 환자 상태에 맞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열공망막박리는 매우 초기나 광응고 레이저 치료로 방책을 만들어 구멍 주위로 더 이상 망막박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치료가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 수술해야 합니다.
만성망막박리는 수술로 망막을 다시 유착시키더라도 기능을 회복하기 어렵습니다. 당뇨 등의 원인으로 나타나는 견인 망막박리는 유리체 절제술로 유리체와 섬유 조직을 제거하여 망막을 유착시켜서 치료합니다. 삼출망막박리는 약물치료와 수술을 시행합니다.
망막박리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비문증 등이 처음으로 발생하거나 갑자기 증가한 경우 안과에 방문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특히 고도근시, 한눈에 망막박리의 과거력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망막박리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안검진을 통해 망막박리 전단계인 망막열공 및 망막주변부 변성 등 얇아져 있는 곳에 레이저를 시행함으로써 망막박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축구, 농구, 격투기 등 안구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릎 뒤에 생기는 물혹인 베이커 낭종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2.09 |
---|---|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알아보기 (0) | 2024.02.08 |
전립선 비대증 알아보기 (0) | 2024.02.06 |
혈액암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2.05 |
번아웃증후군 알아보기 (0) | 202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