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만성 기침에 대해 알아보기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4. 7. 4. 16:47

본문

만성기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의학적으로 기침 자체는 질병이 아닙니다.

외부에서 해로운 이물질이 들어왔을 때 폐와 기관지를 보호하기 위한 우리 몸의 자연스러운 반응이지만 기침이 8주 이상 지속하였을 경우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1. 만성기침의 원인

만성기침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질병으로 구분할 수 있는 기침은 8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기침으로 외부 자극이나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았고, 기침이 발생할 요인이 없는데도 기침이 나는 것을 말합니다. 만성기침의 원인은 비염이 원인이 된 만성기침, 위식도 역류질환으로 인한 기침, 폐질환이 있을 때, 흡연을 오래 했을 경우 만성기침이 발생합니다. 백일해 같이 어렸을 때 앓았던 호흡기 감염증 후유증, 약물 부작용 등으로도 발생합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기침도 있습니다.

 

2. 천식과의 차이점

천식과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감기에 걸린 후 천식 기침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약 감기가 다 나았는데도 한 달 이상 기침이 지속된다면 천식 기침이 시작되었다고 봐야 합니다. 천식 환자는 기도 점막이 취약하므로 감기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기도 염증이 더 증가하고 예민해집니다. 이 경우 천식 흡입제를 빨리 사용합니다.

 

만성 기침에 대해 알아보기만성 기침에 대해 알아보기
만성 기침에 대해 알아보기

3. 만성기침의 치료

만성기침의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만성기침은 원인에 따라 약물 치료를 합니다. 일단 기침 과민성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첫째, 기침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목에 이물감이 느껴지더라도 헛기침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입술을 오므리고 숨을 쉬고 복식호흡을 하는 것도 과민성을 막는 방법입니다. 평소에 자주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셋째, 외부의 민감한 자극 자체를 피해야 합니다. 흡연(간접흡연)을 피하고 멘톨처럼 목에 화끈한 느낌이 들면서 건조하게 하는 것은 먹지 않습니다.

4. 만성기침의 예방

만성기침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평소 이같이 행동해도 목이 가려우면서 기침 충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때도 기침을 하지 않으려는 2차 노력이 필요합니다. 일단 기침이 나올 것 같으면 팔로 입을 막고 그 상태에서 침을 삼키거나 물을 마십니다.

 

만성 기침에 대해 알아보기만성 기침에 대해 알아보기
만성 기침에 대해 알아보기

 

 

숨을 5~10초 참고 최소한 30초 동안 코로 천천히 숨을 쉬도록 합니다. 기침하지 않을 거라 믿으면서 팔에서 입을 떼고 코로 부드럽게 평상시와 마찬가지로 호흡합니다. 만약 기침이 나올 것 같은 느낌이 남아 있다면 이 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합니다. 이상으로 만성기침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