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발은 당뇨병을 앓는 환자의 발에 생기는 신경병, 구조적 변형, 피부 못, 피부와 조갑의 변화, 발의 궤양, 혈관 질환 등의 통칭으로 당뇨병성 족부 질환이 진행되면 작은 상처도 낫지 않고 궤양이 되고 심한 경우 혈액 순환이 되지 않아 까맣게 썩습니다.
당뇨발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을 앓으면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고 감각이 둔해지며, 이 세균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집니다. 발에 상처가 생겨도 잘 느끼지 못하며, 치유력과 세균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져 가벼운 상처도 급속히 진행하여 궤양이나 괴저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합니다. 심하면 절단할 수도 있습니다.
당뇨발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발의 증상으로 가장 먼저 나타나는 것은 신경장애로 인한 이상 감각이 많습니다. 초기 증상은 발이 시리고, 저리고, 화끈화끈한 것입니다. 환자 개개인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호소합니다. 이것이 좀 더 진행되면 발에 무언가가 붙어 있는 듯한 느낌이나 발을 밟을 때 모래나 구슬 위를 걷는 듯한 느낌 등과 같은 다양한 이상 감각을 호소하고 이로 인해 불면증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경이 완전히 파괴되면 발의 감각이 둔해지고, 발에 쉽게 상처가 나고, 다치거나 고름이 잡혀도 아픈지 모르다가 상처가 커지고 심해져야 알게 됩니다.
자주 발이 붓고 피부에 땀이 나지 않아 건조해지고 갈라져서 상처가 쉽게 발생합니다. 운동신경의 이상으로 발가락의 작은 근육들이 마비되어 망치족이나 갈퀴족 같이 변형되어 신발이 잘 맞지 않게 되고, 굳은 살이나 상처가 잘 생깁니다. 자율신경에 이상이 생겨 발에 땀이 잘 안 나고 건조해지기도 합니다.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발이 시리거나 차가워지는 증상이 많이 나타나며, 많은 경우 발가락이 갑자기 까맣게 썩습니다.
당뇨발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발의 갑작스러운 변화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발의 색이 붉거나 검게 변하거나, 수포, 궤양 등 사소한 변화가 생기면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당뇨발의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치료로 구분됩니다. 보존적 치료는 드레싱을 하여 육아조직 및 혈관의 생성을 돕습니다.
혈관 확장제, 조직의 재생을 돕는 상피세포 인자, 고압산소 치료 등을 이용하여 상처의 치유 과정을 촉진합니다. 수술치료는 감염되어 죽은 조직을 수술로 제거하여, 건강한 조직으로부터 상처가 치유되도록 하는 변연 절제술이 있습니다. 크고 깊은 상처 조직을 다른 부위의 살로 덮어주는 재건 수술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심하게 괴사 한 당뇨발을 절단했어야 하지만, 최근에는 혈관상태에 따라 성공적으로 재건이 가능합니다.
당뇨발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혈당을 유지할 수 있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지고, 매일 발과 발톱의 상태, 상처, 피부의 색깔을 관찰하여야 합니다. 허리나 시력의 문제로 발을 관찰하기 어려우면 거울을 사용하여 확인합니다. 발을 뜨겁지 않고 따뜻한 물로 씻고 목욕이나 샤워를 하기 전에는 물이 너무 뜨겁지 않은지 온도계나 팔꿈치로 확인합니다. 발을 잘 말리고 발가락 사이가 젖어 있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발등과 발바닥에는 보습제를 바르고, 발가락 사이에는 바르지 않습니다.
발을 씻고 말린 후 발톱을 손톱깎이로 일자로 다듬고, 만일 발톱이 두꺼워지거나 노랗게 되면 자르지 말고 전문가에게 맡겨야 합니다. 언제나 신발과 양말을 신고, 뜨겁거나 찬 것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고, 혈액순환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적당한 운동은 괜찮지만, 지나치게 오래 걷거나 격하게 달리는 등 발에 무리가 가는 운동은 피해야 합니다. 발에 잘 맞는 보행신발이나 운동화를 착용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26 |
---|---|
두통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25 |
레이노병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1.23 |
마음건강법 알아보기 (0) | 2024.01.22 |
섬유근육통 알아보기 (0) |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