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개발 전담 주치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능력개발 전담 주치의란 기업의 상황을 진단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처방하여 중소기업의 훈련 참여 및 역량강화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능력개발 전담 주치의 사업의 목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직업능력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에 필요한 훈련 상담부터 기업진단, 훈련과정 개발, 기업의 훈련역량을 고도화하는 능력개발클리닉까지 능력개발을 원스톱서비스로 제공함이 목적입니다.
능력개발 전담 주치의 지원사업의 내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중소기업을 지원대상으로 하여 사업주 직업능력개발 훈련, 기업자체훈련 탄력운영제(HRD-PASS), 기업직업훈련카드, 일학습병행제, 기업맞춤형 현장훈련(S-OJT), 학습조직화 지원사업,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등을 지원합니다.
능력개발 전담 주치의 진행절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⓵ 기업에서는 온라인 www.hrd4u.or.kr으로 사업주자체훈련컨설팅을 신청합니다.
⓶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기업특성을 진단하여 기초진단서 발급, 훈련요구 정밀진단 및 역량조사, HRD 기초컨설팅 보고서를 발급합니다.
⓷ 기업과 공단에서는 기업요건과 사업특성을 분석하여 적합한 능력개발 사업을 매칭하여 기업 맞춤형 교육을 진행합니다.
각 사업별 지원내용과 세부사항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사업주 직업능력개발 훈련 소속 근로자의 직무능력향상 훈련에 소요된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기업이 직접 자체 훈련을 실시하거나 다른 훈련기관에 위탁하는 것입니다. 연 최소 5백만 원을 지원 및 기업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고용보험을 납입하고 있는 사업주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기업자체훈련 탄력운영제(HRD-PASS) 자율적으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기업의 연간 훈련계획을 사전 승인하여, 과정별 심사 없이 교육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훈련 이수 시간에 따른 훈련비를 지원합니다. 사업주 자체훈련 참여이력이 있는 기업 100개소가 지원대상입니다.
(3) 기업직업훈련카드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의 직무능력 향상 목적의 훈련에 사용할 수 있는 훈련비 바우처를 지원합니다. 자부담 없이 위탁훈련기관에서 책정한 수강료를 지원합니다. 지원금 한도 5백만 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분은 기업에서 부담합니다.
(4) 일학습병행제 기업에 맞는 교육을 장기적으로 운영하여 기업은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고, 근로자는 이론과 실무를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는 제도입니다. 1개 과정에 12개월 기준으로 학습근로자 5인에게 약 5천만 원을 지원합니다. 참여유형은 입사 1년 이내 재직자를 대상으로 재직자 단계 일학습병행, 고등학교 정규과정과 기업훈련을 연계하여 산학일체형 일학습병행, 전문대학 기업훈련과 연계한 전문대 재학생단계 일학습병행, 4년제 대학 정규과정과 기업훈련을 연계한 IPP형 일학습병행이 있습니다.
(5) 기업맞춤형 현장훈련(S-OJT) 중소기업이 체계적인 훈련실시 및 노하우 전수를 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 설계부터 훈련까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기업별 직무별 현장훈련을 체계화하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프로그램개발을 지원하고 훈련비와 훈련교사를 지원합니다.
(6) 학습조직화 지원 사업 중소기업이 업무 관련 지식, 경험, 노하우를 작업장 내에서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확산할 수 있도록 학습활동 및 인프라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학습조 지원활동, 우수활동 지원, 학습네트워크 지원, 외부전문가 지원, 학습인프라 구축을 지원합니다.
(7)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공동훈련센터가 다수의 중소기업과 컨소시엄 협약을 체결하고 중소기업에 현장맞춤형 훈련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시설, 장비비, 프로그램개발비, 운영비, 훈련비 등을 지원하고, 훈련생에게 월 20만 원의 훈련수당을 지급합니다.
이상으로 능력개발 전담 주치의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자영업자 고용보험료 지원사업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2.01 |
---|---|
스펙업 직무역량 강화캠프 알아보기 (0) | 2023.11.30 |
겨울축제 끝판왕 서울윈타 개최 알아보기 (0) | 2023.11.28 |
무주택 청년층 파격지원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1.27 |
에코·승용차 마일리지 특별 포인트 알아보기 (0) | 2023.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