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근막동통증후군 알아보기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4. 7. 22. 16:00

본문

근막동통증후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근막동통증후군은 근육의 외상이나 과다한 사용, 정신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근육 또는 근막(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얇고 투명한 막)에 통증 유발점이 발생하여 해당 근육의 통증과 이에 동반한 연관통, 운동 제한 등의 여러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흔히 담에 걸렸다고 말하는 것으로 누구나 한번 정도는 걸리는 매우 흔한 질환입니다.

 

 

1. 근막동통증후군의 원인

근막동통증후군의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근막동통증후군의 원인은 근육의 외상이나 과도한 사용,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자세 이상, 외상, 여러 근골격계 질환도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근육의 과도한 사용과 근육의 지속적인 수축과 이완, 외상 등으로 인해 신경근 접합부에서 아세틸콜린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근수축이나 주변 혈관의 압박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근육에 대한 영양과 산소 공급에 장애가 유발되어 발생합니다.

 

2. 근막동통증후군의 증상

근막동통증후군의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근막동통증후군의 증상으로는 근육통이 있습니다. 근육통은 자발통, 압통, 연관통 등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통증은 둔하고 쑤시며, 깊고 넓게 분산된 영역으로 나타나서 운동 범위에 제한이 생깁니다. 통증 유발점이란 약화된 근육이나, 위축이 없지만 누르면 아픈 부위로 밴드처럼 딱딱합니다. 이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발생하며, 그 주변 부위에서도 통증이나 저린 느낌 등이 느껴집니다. 통증 유발점이 목 주위 근육이라면 두통, 눈 주위의 통증, 귀울림(이명), 어지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통증 유발점이 어깨 근육이라면, 팔이나 손이 저리거나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들고, 통증 유발점이 허리나 엉덩이라면 엉덩이와 다리가 저립니다.

 

근막동통증후군 알아보기근막동통증후군 알아보기
근막동통증후군 알아보기

3. 근막동통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

근막동통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근막동통증후군은 국소적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하여 통증 유발점을 압박할 때 압통이나 연관통이 발생하지만, 신경학적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 임상적으로 근막동통증후군으로 진단합니다. 근막동통증후군의 치료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약물치료로 소염진통제, 근육이완제, 진정제, 항우울제 등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일시적으로 통증을 완화하지만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아닙니다.

 

 

스트레칭으로 통증을 유발하는 경직된 근육을 반복적으로 이완시켜 근육의 경직을 완화하거나 풀어주는 방법입니다. 마사지로 눌렀을 때 통증이 가장 심한 부위를 엄지손가락으로 지그시 10여 초간 눌렀다가 떼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물리치료는 가장 전통적인 방법으로 온도 차를 이용한 팩, 온열램프, 한랭치료 등이 있고, 기계적 자극을 이용한 초음파 치료, 저에너지 레이저치료, 전기 치료 등이 있습니다. 통증 유발점 주사요법으로 근육 속에 존재하는 단단한 통증 유발점을 찾아 주사 바늘을 이용하여 정확히 파괴하면 근육의 경직이 풀리면서 통증이 완화되거나 사라집니다.

 

근막동통증후군 알아보기근막동통증후군 알아보기
근막동통증후군 알아보기

4. 근막동통증후군의 예방

근막동통증후군의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근막동통증후군은 반복된 생활 습관 및 자세에서 오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불편하다고 느끼는 자세나 동작을 피하거나 개선해야 합니다. 일하는 도중 목, 어깨 주변이 뻐근함을 느끼면 즉시 일어나 자세를 점검하고 1분이라도 스트레칭을 해야 합니다. 근막동통증후군은 올바른 자세와 꾸준한 스트레칭으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근육은 위치와 방향이 다르므로 스트레칭을 할 때 그에 따른 정확한 자세를 취하여야 합니다. 또한 한 자세로 움직이지 않고 오래 있으면 근육이 수축되므로 수시로 자세를 바꿔줘야 하며, 컴퓨터 작업 등을 할 때 적절하게 휴식을 취합니다. 무리한 어깨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무리한 어깨 사용 후 충분한 휴식을 취하며 마사지나 온찜질 등을 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