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골다공증 예방법 알아보기

건강

by 드림세르파 2024. 7. 12. 15:42

본문

골다공증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급격한 고령화로 골다공증 골절의 연간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골다공증은 노인의 삶의 질을 하락시키고 조기 사망 위험을 높입니다.

초고령화에 대비해 골다공증과 이를 예방하는 습관을 알아보겠습니다.

 

 

 

1. 골다공증

골다공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골다공증은 뼛속에 구멍이 생기는 것으로 뼈의 양이 줄어들고 약해져 골절위험이 증가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30~35세부터 골량이 점점 줄어들며, 여성은 50세 전후 폐경기에 들어서면 뼈가 생성되는 속도보다 파괴되는 속도가 빨라져 골량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2. 골다공증 진단

골다공증 진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골밀도 검사를 통하여 이뤄지며, 골다공증 전 단계인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으로 구분합니다.

대퇴부, 요추의 T-score가 –1.0 이상이면 정상, -1.0과 –2.5 사이라면 골감소증, -2.5 이하면 골다공증으로 진단합니다.

 

골다공증 예방법골다공증 예방법
골다공증 예방법

3. 골다공증 발생

골다공증 발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비교적 젊은 50~60대는 넘어지면서 손을 짚어 손목 부위 골절이 주로 발생하지만, 70세 이상은 척추 골절이 주로 발생하며, 80세 이상에서는 척추 골절에 이어 고관절 골절도 크게 증가해, 골절 후 장해 발생률 및 사망률이 증가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연령 증가와 폐경이 있습니다.

50대부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골다공증 유병률이 증가합니다. 남성의 유병률은 50대 약 3.5%에서 70대 이상 약 18%로 높아지며, 여성의 유병률은 50대에서 약 15%에서 70대 이상 약 68%로 급격히 높아집니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이 골밀도 유지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보다 골다공증 유병률이 3~5배 더 높습니다. 폐경 후 3~5년 사이 골밀도 소실이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4. 골다공증 예방

골다공증 예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운동은 근력을 강화하고 균형감각을 키워 낙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청소년기 이전의 운동이 성인보다 골량을 더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유산소운동과 근력을 강화하는 저항성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유년기에 체중을 싣는 운동, 줄넘기, 점프 등이 골밀도 증가에 도움이 됩니다.

 

골다공증 예방법골다공증 예방법
골다공증 예방법

 

성인도 여성의 폐경 전후 운동 효과가 급격히 차이가 나므로, 폐경 전에 운동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운동은 일주일에 2~3번, 한 번에 1시간 전후로 합니다. 유산소운동으로 빠른 걸음으로 걷기, 자전거 타기, 스테퍼, 운동 시작 전후로 스트레칭, 천천히 걷기 등을 합니다.

저항성 운동으로 스쾃, 아령을 이용한 가슴근육 운동, 팔, 어깨 근육 등이 도움이 됩니다. 골다공증은 증상이 없어 조기 발견이 쉽지 않으므로 50세 전후 성인이나 골밀도 감소위험이 있다면, 조기에 검사를 받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