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간소음이란 공동주택에서 위아래로 층을 맞대고 있는 가구들 간의 발생하는 소음으로 이웃 간에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층간소음은 각종 사회적 갈등을 유발해 주민들 간에 큰 스트레스를 주고 있어 층간 소음을 줄여주는 매트를 설치할 때 그 비용을 지원해 주는 사업입니다.
층간소음 저감매트 지원대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85㎡ 이하 주택에 거주하는 부부합산 연소득 4천만 원 이하, 부부합산 연소득 8천만 원 이하 중 만 13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가구가 지원대상입니다. 소득금액 증명원이나 원천징수영수증으로 대상여부 확인합니다.
층간소음 저감매트 지원사업 대출한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매트 설치 시공비를 호당 최대 300만 원 융자 지원합니다. 업체에서 직접 시공하는 매트에 대해서만 지원되며, 온라인 등으로 매트를 단순 구입하거나 입주자가 직접 시공하는 경우는 신청이 되지 않습니다.
층간소음 저감매트 지원사업 대출금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부부합산 연소득 4천만 원 이하 가구에 대해서는 무이자 지원, 부부합산 연소득 8천만 원 이하 가구에 대해서는 연 1.8%의 이자로 대출이 가능합니다. 상환기간은 최대 60개월, 원리금균등상환방식입니다. 전용 36㎡일 때 예상비용은 150만 원으로 무이자일 때 월 2만 5천 원, 대출금리 1.8% 일 때 월 2만 6천 원 전용 59㎡일 때 예상비용은 225만 원으로 무이자일 때 월 3만 7천 원, 대출금리 1.8% 일 때 월 3만 9천 원 전용 84㎡일 때 예상비용은 300만 원으로 무이자일 때 월 5만 원, 대출금리 1.8% 일 때 월 5만 2천 원입니다.
층간소음 저감매트 지원사업 신청절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지원요건을 검토하여 업체를 직접 선택하고 매트 시공 전 우리은행을 직접 방문하여 지원자격 등을 검토하여 심사를 한 후 승인되면 시공비용을 설치업체에 직접 지급합니다. 구비서류는 주민등록등본(1개월 이내 발급분), 소득금액증명원, 원천징수영수증, 매트시공계약서 또는 영수증 등 증빙자료입니다. 설치한 후에 은행이나 국토교통부에서 방문하여 확인합니다.
참고로 층간 소음 관련 갈등 완화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으로는 아파트 단지관리사무소에 설치된 층간소음관리위원회, 지자체 층간소음상담실, 환경부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1661-2642), 지자체 환경분쟁조정위원회 등이 있습니다.
위시엔젤 봉사단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23.11.15 |
---|---|
소공인 특화자금 신청 알아보기 (0) | 2023.11.14 |
금 지금 사야할까 (0) | 2023.11.12 |
재난지원금 환수면제 알아보기 (0) | 2023.11.11 |
배당주 투자 알아보기 (0) | 2023.11.10 |